Home신차뉴스“2,800만 원 싸져서 돌아왔다” 지프 플래그십 대형 SUV의 귀환

“2,800만 원 싸져서 돌아왔다” 지프 플래그십 대형 SUV의 귀환

프리미엄 욕심 버리고 ‘정체성 리셋’

지프-왜고니어-SUV
그랜드 왜고니어 – 출처 : 지프

지프가 2026년형 그랜드 왜고니어(Grand Wagoneer)를 공개하며, 사실상 브랜드의 방향성을 전면 수정했다. 한때 ‘왜고니어’를 별도 럭셔리 서브 브랜드로 키워 에스컬레이드·내비게이터와 경쟁하려 했던 전략은 실패로 끝났다. 판매는 부진했고, ‘지프가 아닌 지프’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결국 회사는 프리미엄 욕심을 내려놓고 다시 본류로 돌아왔다. 이번 신형 모델부터 ‘왜고니어’라는 독립 네이밍을 버리고, 단일 지프 라인업에 편입됐다. 상징적 변화와 함께 가격 구조도 대폭 조정됐다. 기존 기본형이 8만 달러 후반이던 데 비해, 신형 모델은 64,740달러(약 9,200만 원)부터 시작한다. 이는 이전 세대보다 2만 달러, 한화로 약 2,800만 원이 낮아진 금액이다.

REEV 파워트레인으로 800km 달리는 전기 SUV

지프-왜고니어-SUV
그랜드 왜고니어 – 출처 : 지프

새로운 그랜드 왜고니어는 단순한 가격 조정 이상의 기술 변화를 담았다. 이번 모델에는 REEV(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시스템이 적용됐다. 92kWh 배터리와 3.6리터 V6 엔진, 120kW 발전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구조로, 모터 구동이 기본이지만 필요 시 엔진이 발전기로 작동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덕분에 한 번 충전으로 최대 800km 주행이 가능하며, 0→60mph 가속은 5초 이내다. 최고출력은 647마력, 최대토크는 620lb-ft에 달해 기존 가솔린 V8 모델을 능가한다.

지프는 이 REEV 시스템을 “순수 전기차와 내연기관 SUV의 장점을 결합한 현실적인 전동화 솔루션”이라 정의한다. 이 파워트레인은 이미 RAM 1500 REV에도 적용된 바 있어, 부품 호환성과 생산 효율성 측면에서도 장점이 크다.

‘크롬 대신 다크 트림’, 단순하고 강한 인상

지프-왜고니어-SUV
그랜드 왜고니어 – 출처 : 지프

디자인은 화려함보다 절제된 강인함으로 방향을 틀었다. 전면에는 지프 전동화 라인업의 상징인 ‘왜고니어 S’에서 영감을 받은 점등형(illuminated)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다. 중앙에는 ‘Wagoneer’ 대신 ‘Jeep’ 로고가 자리 잡았다. 이 한 줄의 로고 변화는 지프가 ‘독립 브랜드 실험’을 완전히 접고 다시 하나의 지프 패밀리로 통합됐음을 보여준다.

외관은 크롬 대신 다크 메탈 트림으로 정리되어 시각적 무게 중심이 낮아졌고, 신규 휠 디자인과 무광 블랙 악센트가 적용돼 존재감을 강화했다. 실내 역시 대형 SUV다운 여유로운 공간감은 유지하면서도, 고급 소재의 양을 줄이고 기능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재정비됐다. 더 큰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향상된 커넥티비티 시스템, 새로운 색상 옵션이 추가되었다.

“SUV의 본질로 돌아간다” — 지프의 전략 리셋

지프-왜고니어-SUV
그랜드 왜고니어 – 출처 : 지프

지프의 이번 행보는 단순한 상품 업데이트가 아니라 브랜드 리셋(reset)에 가깝다. 왜고니어 프로젝트는 지프를 ‘에스컬레이드의 대항마’로 올려세우려는 시도였지만, 소비자들은 지프에게서 화려한 럭셔리를 기대하지 않았다. 대신 지프는 “견고한 SUV의 상징”으로 남길 원했다. 따라서 이번 2026 그랜드 왜고니어는 화려함보다 신뢰와 실용성, 그리고 전동화 기술력을 앞세운다. 업계는 이번 변화를 두고 “지프가 본래의 정체성을 되찾으면서도 전동화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현실적 해법을 제시했다”고 평가한다.

스텔란티스 그룹은 앞으로 지프를 중심으로 하이브리드·REEV·EV의 삼중 라인업을 구축해 글로벌 SUV 시장 점유율을 확장할 계획이다. 화려함보다 ‘지속 가능한 강인함’을 내세운 이번 전략이, 지프의 새로운 성공 공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Must Read

spot_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