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망가진다’는 소문, 사실일까?

운전자들 사이에서 “오토홀드를 자주 쓰면 브레이크가 상한다”는 말이 종종 들린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 오해에 가깝다. 오토홀드(Auto Hold)는 정차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도 차가 앞으로 밀리지 않게 유지해주는 전자식 보조 제동 기능이다.
차량이 완전히 멈추면 유압을 유지한 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가 잠시 잡아주는 구조로, 엑셀을 밟으면 즉시 해제된다. 즉, 별도의 부품이 추가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브레이크 시스템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이다.
제조사들은 ‘상시 사용 전제’로 설계했다

현대·기아를 비롯해 벤츠, BMW 등 대부분의 글로벌 제조사들은 오토홀드 기능을 항상 켜두고 사용해도 무방하도록 설계했다. 브레이크 모듈과 유압 시스템은 반복적인 작동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췄고, 브레이크 패드나 디스크가 받는 압력 역시 일반적인 제동 상황과 거의 동일하다.
즉, 오토홀드를 자주 사용한다고 해서 패드가 과도하게 닳거나 유압 장치가 손상되는 일은 없다. 제조사 입장에서도 일상 주행에서 상시 사용하는 기능으로 설계했기 때문에, “오토홀드가 브레이크를 망가뜨린다”는 주장은 기술적 근거가 부족한 낭설에 가깝다.
단, 경사로 정차 시엔 ‘열 누적’ 주의

다만 예외적인 상황이 하나 있다. 경사가 심한 도로에서 오토홀드를 켠 채 장시간 정차할 때다.
이때는 브레이크 패드가 지속적으로 디스크를 눌러 하중을 받게 되고, 시간이 길어지면 열이 누적될 수 있다. 하지만 이건 오토홀드의 결함이라기보다, 브레이크를 밟은 채 오래 서 있을 때 생기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장시간 정차가 불가피하다면 변속기를 ‘P(주차)’에 두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를 수동으로 체결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게 좋다. 이 습관만 지켜도 브레이크 열화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결론: “오토홀드는 안심하고 써도 된다”

결론적으로 오토홀드는 일상 주행에서 상시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는 기능이다. 경사로·장시간 정차 상황만 피한다면 차량 내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히려 반복적인 브레이크 조작을 줄여 운전 피로를 낮추는 장점이 크다. 단, 주차 시에는 오토홀드를 해제해두는 것이 안전하다.
오토홀드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시동을 끈 뒤 차량이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흔히 퍼지는 ‘오토홀드 고장설’은 사실이 아니며, 가장 정확한 기준은 항상 차량 제조사 매뉴얼 속에 있다.